1단계: AI 기초 이해 교육 프로그램
| 챕터 | 주요 내용 및 학습 목표 | 핵심 개념 및 도구 | |
|---|---|---|---|
| 생성형 AI의 개념과 교육 활용 | 학습 목표: 생성형 AI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AI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 생성형 AI의 이해: AI의 작동 방식, 종류 | |
| 주요 내용: ChatGPT, Claude, Gemini 등 주요 AI 도구들의 특징과 차이점을 이해합니다. 계절근로자 교육 현장에서 AI를 활용하여 교육 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 주요 도구: ChatGPT, Claude, Gemini | ||
| 학습 목표: AI 활용에 필요한 기본적인 리터러시를 갖추고, 윤리 및 법적 문제를 이해한다. | AI 작동 원리 | ||
| 주요 내용: AI의 작동 원리에 대한 이해를 다룹니다. AI를 교육에 활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사용, 데이터 보호 및 개인정보 처리에 대한 이해를 심화합니다. | 핵심 윤리: 윤리적 사용, 데이터 보호, 개인정보 처리 | ||
| 외국인 교육을 위한 AI 특화 기능 실습 | 학습 목표: 외국인 학습자의 언어 장벽 극복을 위한 AI 특화 기능을 익히고 실전에 적용한다. | 언어 기능: 다국어 번역 | |
| 주요 내용: 다국어 번역 기능을 활용하여 즉각적인 소통 방법을 훈련합니다. 음성인식(STT) 및 텍스트 음성변환(TTS) 기능을 실습하여 다양한 형태의 교육 자료를 만듭니다. 이미지 번역 기능을 실습하여 언어 능력이 낮은 학습자를 위한 비언어적 자료 준비 역량을 강화합니다. | 실습 기능: 음성인식(STT), 텍스트 음성변환(TTS), 이미지 번역 |
귀하의 요청에 따라, 총 32시간의 교육 과정을 8시간으로 압축하여 재구성한 프로그램 중 **1차시 (2시간)**에 대한 상세 강의 매뉴얼을 작성합니다.
이 매뉴얼은 실습 중심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 방식을 극대화하여, 교육 담당자들이 외국인 계절근로자 교육 현장에서 가장 시급한 문제인 언어 장벽을 즉각적으로 극복하기 위한 필수 AI 특화 기능을 숙달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1차시 강의: 언어 장벽 극복 AI 기능 실습 (총 2시간)
1. 목표 및 전제 조건
| 구분 | 내용 | |
|---|---|---|
| 1차시 목표 | 외국인 근로자 교육 담당자들이 AI 특화 기능을 활용하여 다국어 번역, 음성 인식 및 변환, 이미지 번역 기술을 숙달하여 언어 장벽을 극복하고 교육 효과를 증진시키는 것입니다. | |
| 전제 조건 | AI의 작동 원리, 생성형 AI 개념, 윤리 및 데이터 보호에 대한 **이론적 내용(AI 리터러시 기본)**은 사전에 온라인 자율 학습으로 이수해야 합니다. | |
| 필요 도구 | ChatGPT Plus, Claude Pro, Gemini Advanced 등 생성형 AI 플랫폼 계정 및 실습 워크북. |
2. 강의 세부 구성 (총 120분)
| 시간 배정 | 활동 모듈 | 세부 강의 내용 및 실습 방법 | 핵심 목표 및 도구 |
|---|---|---|---|
| 10분 | 모듈 1: 오리엔테이션 및 선행 학습 점검 | A. 강의 목표 재확인: 8시간 압축 과정의 목표(AI 도구 활용 역량 확보, 안전교육 효과 극대화)를 상기시킵니다. B. 선행 학습 점검: AI 개념 및 윤리 관련 내용 이수 여부를 빠르게 확인하고, 궁금한 점을 묻고 답합니다. | AI 리터러시, 블렌디드 러닝 |
| 50분 | 모듈 2: AI 특화 기능 숙달 (언어 실습) | A. 다국어 번역 및 TTS 실습 (30분): 교육자들이 현장 안전 지침을 다국어(예: 베트남어, 태국어)로 다국어 번역하고, 텍스트 음성변환(TTS) 기능을 활용하여 교육 자료의 음성 파일을 생성하는 실습을 진행합니다. B. 현장 소통 STT/롤플레잉 (20분): 현장 감독자와 근로자의 역할을 나누어, 음성인식(STT) 기능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언어를 번역하며 소통하는 롤플레잉 시나리오를 진행합니다. | 다국어 번역, STT, TTS 기능 |
| 50분 | 모듈 3: 비언어적 자료 제작 실습 (시각 자료) | A. 이미지 번역 실습 (30분): 교육 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농작업 매뉴얼이나 기계 사용법 등 사진 자료를 AI를 활용하여 이미지 번역하는 실습을 진행합니다. B. 비언어적 자료 개발 (20분): 그림과 아이콘을 활용하여 언어 능력에 상관없이 이해 가능한 비언어적 교육 자료를 제작하는 AI 활용 전략을 공유하고 간단한 샘플을 생성합니다. | 이미지 번역, 비언어적 교육 자료 개발 |
| 10분 | 마무리 및 2차시 예고 | 1차시 요약: 언어 장벽 극복을 위한 AI 도구의 숙련도를 점검합니다. 2차시 예고: 다음 시간에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을 통한 맞춤형 콘텐츠 제작 (AI 아바타 강사 제작, 챗봇 커스터마이징 등) 실습을 진행함을 안내합니다. | 언어 장벽 극복, 교육 콘텐츠 제작 |
3. 교육 방법론 강조 사항
- 실습 중심: 이 2시간 동안 이론 설명은 최소화하고, 모든 시간을 AI 도구 활용 실습에 집중하여 이론을 바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지도합니다.
- PBL 적용: 롤플레잉 및 시나리오 실습을 통해 학습자들이 교육 현장에서 발생하는 실제 문제를 해결하도록 유도합니다.
요청하신 대로, 총 8시간으로 압축된 AI 교육 프로그램의 첫 번째 세션인 **1차시: 언어 장벽 극복 AI 기능 실습 (총 2시간)**에 대한 상세 강의 교안을 주입식 교육 시간을 최소화하고 실습(PBL) 중심으로 구성하여 제작했습니다.
이 교안은 교육 담당자들이 AI 도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언어 장벽을 극복하고 안전교육 효과를 극대화하는 역량을 갖추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1차시 강의 교안: 언어 장벽 극복 AI 기능 실습 (총 2시간)
Ⅰ. 강의 개요 및 전제 조건
| 구분 | 내용 |
|---|---|
| 차시 제목 | 언어 장벽 극복 AI 기능 실습 (원 과정 1단계 ‘AI 특화 기능’ 집중 압축) |
| 총 시간 | 120분 (2시간) |
| 학습 목표 | 교육 담당자들이 AI 특화 기능(번역, STT, TTS, 이미지 번역)을 숙달하여 현장 즉시 소통 능력을 확보하고, 교육 자료의 언어 장벽을 제거합니다. |
| 교육 방법론 | 실습 중심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 이론적 내용은 온라인 자율 학습으로 선행 이수 완료를 전제함 [3, 대화 내용]. |
| 필요 도구 | 개인 노트북/태블릿, ChatGPT Plus, Claude Pro, Gemini Advanced 등 생성형 AI 플랫폼 계정. |
| 교육 대상 | 지자체 계절근로자 담당 공무원, 안전교육 강사 등. |
Ⅱ. 강의 세부 구성 (총 120분)
| 시간 | 활동 모듈 | 세부 강의 내용 및 실습 지침 | 핵심 목표 및 도구 |
|---|---|---|---|
| 10분 | 도입 및 사전 점검 | A. 선행 학습 점검 (최소 강의): 교육 시작 전 이수해야 할 이론 내용(AI의 작동 원리, 윤리적 사용, 데이터 보호 및 개인정보 처리 등)에 대한 이수 여부를 확인하고 질문을 받습니다. (이론 설명 시간 최소화) B. 목표 설정: 8시간 과정의 핵심 목표(언어 장벽 극복, 안전교육 효과 극대화)를 상기시키고, 2시간 동안 달성할 실습 목표를 명확히 합니다. | AI 리터러시 기본 |
| 50분 | 모듈 1: 핵심 언어 기능 숙달 실습 | A. 다국어 번역 및 TTS 실습 (30분): 현장에서 자주 사용하는 안전 지침 5개를 선정하여, AI 도구에 입력 후 대상 언어(예: 베트남어)로 다국어 번역을 진행합니다. 번역된 텍스트를 활용하여 텍스트 음성변환(TTS) 기능을 실습하고, 교육용 오디오 파일을 즉시 생성해봅니다. B. 실시간 STT 롤플레잉 (20분): 교육 담당자와 근로자 역할을 나누어 긴급 상황 시나리오를 진행합니다. AI의 음성인식(STT) 기능을 활용하여 외국인 근로자의 구두 질문을 즉시 한국어로 번역하고 답변을 외국어로 전달하는 현장 즉시 소통 시나리오를 실습합니다. | 다국어 번역, TTS, STT 기능 실습 |
| 50분 | 모듈 2: 비언어적 콘텐츠 활용 실습 | A. 이미지 번역 실습 워크숍 (30분): 교육자들이 현장에서 수집한 (또는 제공된) 안전 표지판, 농작업 기계 매뉴얼 등의 이미지를 AI 이미지 번역 기능을 활용하여 즉시 번역합니다. (언어 능력이 낮은 학습자를 위한 필수 실습) B. 비언어적 자료 개발 전략 (20분): AI 이미지 생성 기능을 간략히 사용하여, 그림과 아이콘을 활용한 교육 자료를 제작하는 전략을 토의합니다.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 교육 자료 개발 능력을 강화) | 이미지 번역 기능, 비언어적 교육 자료 개발 |
| 10분 | 마무리 및 2차시 예고 | 1차시 요약: 오늘 숙달한 AI 기능이 교육 준비 시간 단축 및 현장 소통에 어떻게 기여할지 확인합니다. 2차시 예고: 다음 시간에는 AI를 활용하여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는 심화 실습(프롬프트 엔지니어링, AI 아바타 강사 제작, 챗봇 커스터마이징)을 진행함을 안내합니다. | 교육 콘텐츠 제작 |
Ⅲ. 교육 방법론 강조 사항
- PBL 집중: 이 2시간 과정은 이론 강의(주입식 교육)를 최소화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AI 도구를 활용하여 실제 현장 문제(언어 장벽)를 해결하도록 하는 실습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3, 대화 내용].
- 기대 효과: 이 과정을 통해 교육 담당자들은 스스로 다국어 교육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외부 의존도가 감소하며, 개별 학습자의 언어에 맞춘 맞춤형 교육이 가능해집니다.
editor's pick
latest video
최신 소식을 구독하세요
뉴스레터에 가입하고, 우리가 새로운 글을 발행할 때 무료로 알림을 받으세요!

